전체 글410 문명의 바닷길 - 주강현 (시사인 연재) ‘문명의 바닷길’은 바다를 가로지르는 ‘액체의 역사’다. 오늘의 한국을, 오늘의 유라시아를 있게 한 문명의 바닷길을 살핀다. 바닷길은 당연히 내륙의 길과 연결되어 있다. 어떤 길은 익히 알려졌으며 어떤 길은 생소하다. 익숙한 길은 그 길의 의미망을 되짚어나가는 계기가 될 것.. 2015. 6. 8. 유라시아 견문 - 이병한(프레시안) http://www.pressian.com/news/review_list_all.html?rvw_no=1690 [유라시아 견문] 유라시아의 길 지금 '한미 동맹' 타령할 때가 아닙니다! 2015년 새 연재 '유라시아 견문'이 3월 10일 닻을 올립니다. 그 동안 '동아시아를 묻다'를 통해서 한반도, 동아시아, 세계를 가로지르는 웅장한 시각을 보여줬던 유라시아 .. 2015. 5. 26. 서울 효창공원 효창공원 생태산책~전통과 현대 어우러진 공원 일대 골목 산책길 노랑·분홍 작은 들꽃, 아늑한 골목…숨은 풍경 찾기 1. 조홍섭 기자가 추천한 공원산책길 “‘차경’이란 말이 있죠. 보이는 경치를 빌려와 정원으로 삼는다는 건데, 국내 신문사 중 우리 신문사처럼 큰 정원을 가진 곳이.. 2015. 5. 17. 대통령 정신분석 & 심리연구 박근혜 대통령의 집권 기간 동안 이상하게도 '풍문'과 '음모론'이 난무한다. 사상 첫 여성 대통령(그것도 미혼인)에 대한 저급한 관심 수준이 아니다. 기존의 정치적(더 좁히자면 정치공학적) 분석 만으로는 이해가 안 되는 대통령의 '행태'가 원인이다. 세월호 참사, 청와대 문건 파동, 성.. 2015. 4. 29. [한겨레] 아침이슬, 그 사람 - 김민기 아침이슬, 그 사람 [토요판] 커버스토리 / 이진순의 열림, 김민기 이진순이 만난 학전 대표 김민기 속마음 털어놓은 최초의 인터뷰1970~80년대 청년 문화의 원형을 만든 인물이자 노래와 연극, 문학을 아우르며 한국 문화의 새 지평을 연 르네상스적 인간. 나이 만 스물에 지은 ‘아침이슬’.. 2015. 4. 4. 김대중 vs 이광요(리콴유) 김대중 前대통령과 리콴유 前총리 ‘민주주의’ 논쟁 “아시아에는 아직 해내야 할 일이 많이 있다. 우리는 시급히 민주주의를 확립하고 인권을 개선해야 한다. 여기에 있어서 가장 큰 장애요소는 문화적 전통이 아니라 권위주의적 지도자들과 변명자들의 저항이다. (…) 아시아의 풍부.. 2015. 3. 25. 이전 1 ··· 7 8 9 10 11 12 13 ··· 6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