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99년 미국 남동부 조지아 주. 당시 21세의 샘 호스는 일용직 노동자로, 앨프리드 크랜포드가 운영하는 농장에서 일하고 있었다. 샘 호스는 어느 날 주인과 임금 문제로 다투게 되었고, 다음날에도 이어진 다툼은 결국 물리적 충돌로 이어졌다. 앨프리드 크랜포드가 리볼버 총으로 위협했고, 생명의 위협을 느낀 샘 호스는 도끼로 맞대응하는 과정에서 주인을 살해했다. 당황한 샘 호스는 달아났다.
그런데, 진짜 문제는 다른 곳에 있었다. 샘 호스는 '흑인'이었다. 1899년 4월 12일, 샘 호스는 살인죄뿐만 아니라 성폭행 및 절도 등의 혐의로 고소되었다. 살인 후 크랜포드의 아내를 성폭행하고 절도를 했다는 것이다.
이 소식은 지역신문을 통해 대대적으로 알려졌다. 분노한 '백인' 군중들은 4월 23일에 체포되어 이송 중이던 샘 호스를 기차에서 끌어냈다. 전 시장과 판사가 나서서 군중들에게 샘 호스를 당국에 넘겨줄 것을 호소했지만 소용없었다.
즐겁게 린치하면서 기념사진 찍는 백인들
군중들은 샘 호스를 끌고 살해된 크랜포드의 집이 있는 곳으로 행진하기 시작했다. 이 소식을 들은 사람들은 무슨 좋은 구경거리라도 생긴 듯이 기차를 타고 각지에서 모여들었고 군중의 수는 2000명으로 불어났다. 그리고 드디어 '백인' 공동체의 의식이 시작되었다.
군중들은 살아있는 샘 호스의 몸에서 손가락과 귀·성기 등을 뜯어냈다. 이것으로도 모자랐는지 샘 호스의 얼굴 가죽을 벗겨낸 군중들은 그의 몸에 기름을 끼얹고 산 채로 불에 구웠다. '의식'을 거행한 이들은 샘 호스의 타들어간 신체를 뜯어내어 기념품으로 가져갔다. 어떤 상점에서는 샘 호스의 손가락을 기념품으로 판매하기까지 했다.
이후 양심적인 언론인들이 탐정 루이스 P. 레 빈을 고용해서 사건을 조사했다. 일주일에 걸쳐 사건을 조사한 탐정 레 빈은 샘 호스의 행위를 정당방위로 결론 내렸다. 성폭행은 백인들이 '의식'을 정당화하기 위해서 덧씌운 것이었다. 레 빈이 조사한 모든 사람들은 자신이 알고 있는 사실을 얘기하면서도 보복이 두려워 철저하게 익명을 요구했다고 한다.
이런 경악스러운 린치는 미국 남부에서 심심치 않게 행해졌다. 더욱 놀라운 것은 이러한 린치가 일정한 절차와 의식을 갖춘 공동체 행사였다는 점이다.
'행사'에 참여하는 사람은 백인 성인 남성뿐만 아니었다. 만 3~4세의 남녀 어린이들, 멋진 외출복을 입은 남녀 커플들, 결혼식에나 입을 법한 정장 차림의 남녀노소들이 즐거운 표정으로 '의식'에 참여했다. 이들 중 많은 이들이 숯덩이로 변한 흑인과 포즈를 취한 채 사진을 찍고, 그 사진을 엽서로 만들어서 친지들에게 보내기도 했다.
▲ 1930년에 백인들의 린치로 사망한 ‘흑인’ 토마스 쉽(Thomas Shipp)과 아브람 스미스(Abram Smith). 나무 밑에는 잘 차려입고 모자까지 챙겨 쓴 ‘백인’ 군중들이 의식에 참여하고 있다.
▲ 1935년에 백인들의 린치로 사망한 ‘흑인’ 루빈 스테이시(Rubin Stacy) ▲ 1936년에 백인들의 린치로 사망한 ‘흑인’ 린트 쇼(Lint Shaw)
▲ 1920년에 린치를 당한 ‘흑인’ 리그 다니엘(Lige Daniels)의 모습을 엽서에 사용한 모습. 옆서의 앞면 / 뒷면
남부의 나무에는 이상한 열매가 열린다,
잎사귀와 뿌리에는 피가 흥건하고,
남부의 따뜻한 산들바람에 검은 몸뚱이들이 매달린 채 흔들린다,
포플러나무에 매달려 있는 이상한 열매들.
멋진 남부의 전원 풍경,
튀어나온 눈과 찌그러진 입술,
달콤하고 상쾌한 매그놀리아 향,
그러고는 갑자기 풍겨오는, 살덩이를 태우는 냄새.
여기 까마귀들이 뜯어먹고,
비를 모으며 바람을 빨아들이는,
그리고 햇살에 썩어가고 나무에서 떨어질,
여기 이상하고 슬픈 열매가 있다.
Southern trees bear a strange fruit,
Blood on the leaves and blood at the root,
Black bodies swinging in the southern breeze,
Strange fruit hanging from the poplar trees.
Pastoral scene of the gallant south,
The bulging eyes and the twisted mouth,
Scent of magnolias, sweet and fresh,
Then the sudden smell of burning flesh.
Here is fruit for the crows to pluck,
For the rain to gather, for the wind to suck,
For the sun to rot, for the trees to drop,
Here is a strange and bitter crop.
<타임>지에 처음으로 실린 흑인의 사진
전설적 재즈 보컬이자 '흑인' 빌리 홀리데이(1915~1959)의 '이상한 열매(strange fruit)' 가사다. 예상되듯이 이상한 열매는 린치를 당한 흑인의 몸뚱이를 뜻한다. 카페 소사이어티의 주인 바니 조지프슨은 빌리 홀리데이가 이 노래를 처음으로 부르기 시작한 1939년의 그 때를 다음과 같이 기억한다.
"그런데 그 날 밤에는 그녀가 노래를 부르면서 눈물을 흘렸습니다. 청중들은 즉각 반응을 보였습니다. 눈물이 흘러나오자 그 때 청중의 충격은 컸습니다. 빌리도 알았을 겁니다. 그리고 그 노래는 빌리만 부르는, 그녀의 전매특허 같은 것이 되어 버렸습니다.
…(중략)…그녀는 '이상한 열매'를 부를 때면 전혀 움직이지 않았습니다. 손도 내려놓고 마이크도 건드리지 않았습니다. 오직 그녀 얼굴 위에 떨어지는 작은 조명만 있었습니다. 눈물은 흘리면서도 노래하는 목소리에는 아무 지장이 없었지만, 그 눈물로 클럽 안의 모든 사람들을 보내 버렸습니다.
…(중략)…그 때까지도 전국지들은 흑인 사진을 싣지 않았습니다. 메리언 앤더슨은 오페라에 출연해 노래할 수 있었고 <타임>지의 음악 칼럼에 리뷰 기사가 나가기는 했지만 사진만은 실리지 않았습니다…(중략)…빌리가 '이상한 열매'를 부르기 시작한 지 얼마 안 돼서, <타임>도 태도를 바꿔 그녀의 사진을 게재하고 기사도 실었습니다. 내가 알기로는 흑인 사진이 <타임>이나 <라이프>에 실린 건 그게 처음이었고, 그 때부터 다른 잡지에도 흑인 사진이 나오기 시작했습니다. 하지만 그들이 그녀 사진을 실은 건 그 노래가 던진 충격 때문이었습니다." <빌리 홀리데이> 중에서
이 노래는 고등학교 교사이자 시인이었던 아벨 미어로폴이 작사·작곡했다. '루이스 앨런'이라는 필명으로 시를 쓰던 미어로폴은 1930년의 토마스 쉽과 아브람 스미스 린치 사건을 기록한 사진을 보고 엄청난 충격을 받았고, 그 느낌을 담아서 이 곡을 썼다.
'이상한 열매'는 빌리 홀리데이가 일하던 카페 소사이어티의 관계자에게 전해졌고, 편곡자 대니 멘델존이 미흡한 부분들을 고치고 다듬은 후에 빌리 홀리데이를 통해 세상에 널리 전해지게 된 것이다.
공연을 본 한 여자가 빌리를 화장실까지 쫓아와서 "다시는 그 노래 부르지 마, 다시 부르면 가만히 안 놔두겠어"라고 울부짖는 일도 있었다고 한다. 카페 소사이어티의 주인 바니 조지프슨은 다음과 같이 그 일을 얘기했다.
"그녀(공연을 들은 여자)가 일곱살인가 여덟살인가 되었을 때 남부에서 린치 장면을 목격했다고 합니다. 한 남자를 자동차 뒤 펜더에 목을 매단 채 거리를 질주하다가 나무에 매달아 불태우는 걸 보았다는 것이었습니다. 그리고 모든 걸 잊고 있었는데, 기분 좀 내려고 우리 클럽에 들어왔다가 빌리가 살덩이 태우는 냄새 어쩌고 하는 노래를 부르는 바람에 모든 기억이 되살아났다는 거였지요." <빌리 홀리데이> 중에서
'이상한 열매'는 대부분의 라디오 방송국에서 금지곡으로 지정했음에도 엄청난 반향을 불러일으켰다. 이 곡이 엄청난 반향을 일으켰다는 사실은, 백인들의 린치에 대한 흑인들의 육체적·정신적 상처가 얼마나 심했는지를 반증하는 것이다.
백인 가정의 흑인 하녀, 금지곡을 부르다
▲ 빌리 홀리데이
어떻게 보면 빌리 홀리데이 그 자신이 이 곡을 가장 잘 부를 수밖에 없는 '숙명'을 지니고 있는 것일지도 모르겠다.
빌리 홀리데이는 백인 가정의 흑인 하녀로 일하던 13살의 새디 페이건에게서 태어났다.
10살이던 1925년, 마흔살 가량의 백인 남자 딕크의 집에서 하녀로 일을 하다가 이 남자에게 성폭행을 당한다. 빌리는 경찰에 신고하지만 경찰은 백인 남자를 처벌하지 않고, 오히려 어린 빌리를 불량소녀로 몰아 감화원에 보내고 만다.
2년 만에 어렵사리 감화원에서 나온 빌리는 이번에는 흑인 남자에게 성폭행을 당하게 된다. 결국 빌리의 어머니는 그 해 여름 자신의 딸을 뉴욕으로 데려갔고, 어린 빌리의 정규교육은 초등학교 5학년에서 끝나게 된다.
먹고 살기 위해서 빌리는 뉴욕 할렘의 사창가에서 몸을 팔게 되었지만, 어떤 흑인의 강요된 성행위를 거부하다 결국 밀고당해 다시 경찰로 넘겨졌다. 불과 15세의 나이로 두 번째의 철창행을 겪게 된다.
그녀의 원죄는 이것이었다. 가난한 '흑인'의 사생아로 태어났다는 사실. 하지만 그 원죄는 너무나도 큰 것이었다.
그녀는 노래로 알려지고 나서도 백인 밴드와의 공연에서 얼굴이 너무 검다고 핑크 물감을 칠해야 했고, 백인 악단이 흑인 가수를 반주할 수는 없다는 이유로 공연을 거부당하기도 했다.
짧은 가방끈에 정치에는 문외한이었고, 처음에는 '이상한 열매' 가사에 나오는 '전원(Pastoral)'이란 단어의 뜻조차 몰랐던 빌리 홀리데이. 그렇지만 그녀는 자신이 살아온 삶으로 '이상한 열매'를 노래했고, 그녀의 직관적 해석은 어떤 고귀한 지식을 지닌 자의 해석보다도 더욱 본질적이고 직접적이었다.
시작부터 '원죄'를 달고 태어난 삶은 끝까지 순탄치 않았다. 순탄치 않은 결혼 생활과 마약중독 등은 끊임없이 그녀를 괴롭혔고 결국 1959년 7월 17일, 44살의 아까운 나이로 병상에서 숨을 거둔다.
저명한 역사가이자 저술가인 에릭 홉스봄은 빌리 홀리데이의 죽음 소식을 듣고 쓴 추도사에서 다음과 같이 얘기한다.
"…(전략)…그녀의 노래에는 잘려나간 자신의 다리를 바라보며 누워있는 사람과 같은 마음의 고통과 육체적 체념이 뒤섞여 있다. 그래서 흑인에 대한 폭력에 항의하는 시에 곡을 붙여 불후의 명곡이 된 '이상한 열매'에서 우리는 그처럼 섬뜩한 전율을 느끼게 되는 것이다. 고통은 곧 그녀의 삶이었지만, 그녀는 그에 굴복하지 않았다.
…(중략)…그러나 스스로 죽음으로 몰고 갈 수밖에 없었던 그녀의 고통스러운 생을 되돌리기에는 너무 늦어 있었다. 10살때 강간을 당하고, 십대에 마약에 중독되는 일이 설령 없었다 하더라도, 1915년 볼티모어 흑인 빈민가에서 아름다움과 자존심을 함께 지니고 태어난 것 자체가 그녀에게는 너무나 커다란 약점이었다.
그러나 스스로 파괴되어 가는 와중에도 그녀는 노래를 계속했다. 비록 이미 황폐해진 목소리였지만, 그것은 마음 깊이 애잔함을 불러일으켰다. 어찌 그녀를 위해 눈물을 흘리지 않고, 그녀를 이렇게 만든 세상을 탓하지 않을 수 있겠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