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Art & Culture/노래 이야기

빅토르 하라, 살바도르 아옌데 - 노무현

by Wood-Stock 2009. 4. 7.

나의 기타는 총, 나의 노래는 총알
[세상을 바꾼 예술작품들] 빅토르 하라 '벤세레모스'

 

1973년 9월 11일의 칠레에서 일어난 실화를 재현한 <산티아고에 비가 내린다(Il Pleut Sur Santiago)>라는 영화가 있다. 
 

당시 칠레는 살바도르 아옌데를 대통령으로 내세운 인민연합(Unidad Popular) 세력이 집권하고 있었다. 1970년 칠레에서는

사회주의를 내세운 세력이 인류 역사상 처음으로 선거를 통한 집권에 성공했다. 그러나 전세계 노동자·민중의 기대와 관심

속에 집권한 아옌데 정부는 1973년 9월 11일, 미국의 사주를 받은 피노체트 장군의 보수반동 쿠데타로 무너지고 만다.

이 쿠데타의 작전명이 '산티아고에 비가 내린다'였다.

 

영화의 후반부. 쿠데타군에 의해 잡혀온 수많은 사람들이 체육관 안을 빙 둘러 가득 메우고 있다. 그들은 모두 겁에 질린

얼굴을 한 채로 손을 머리 뒤쪽으로 올리고 있다. 적막조차 두려워 소리를 내지 못하는 이 상황.

 

어디선가 송아지만큼이나 큰 눈망울을 한 남자가 인민연합 찬가인 <우리 승리하리라(Venceremos, 벤세레모스)>를 부르기

시작한다. 군인들에 의해 끌려나온 그는 개머리판으로  두들겨 맞아 만신창이가 되면서도 <벤세레모스>를 부르는 것을 그치지

않는다.

 

<우리 승리하리라(Venceremos)>

 

작사: 끌라우디우스 이뚜라

작곡: 세르히오 오르떼가

 

조국의 깊은 시련으로부터

민중의 외침이 일어나네

이미 새로운 여명이 밝아와

모든 칠레가 노래 부르기 시작하네

불멸케 하는 모범을 보여준

한 용맹한 군인을 기억하며

우리는 죽음에 맞서

결코 조국을 저버리지 않으리

 

<후렴>

우리는 승리하리라, 우리는 승리하리라

수많은 사슬은 끊어지고

우리는 승리하리라, 우리는 승리하리라

우리는 비극을 이겨내리라

 

농부들, 군인들, 광부들

그리고 이 땅의 모든 여성과

학생, 노동자들이여

우리는 반드시 이룩할 것이다

영광의 땅에 씨를 뿌리자

사회주의의 미래가 열린다

모두 함께 역사를 만들어 가자

이룩하자, 이룩하자, 이룩하자.

 

<후렴>

우리는 승리하리라, 우리는 승리하리라

수많은 사슬은 끊어지고,

우리는 승리하리라, 우리는 승리하리라

우리는 파시즘의 비극을 이겨내리라

 

목숨을 걸고 부른 '우리 승리하리라(벤세레모스)'는 체육관의 적막을 깨고 군중들의 합창이 된다. 화가 머리  끝까지 난

군인들은 이 남자를 개머리판으로 사정없이 찍는다. 용기의 대가를 치른 이 남자의 이름은 '빅토르 하라'.

 

 

 

 

 

 

가난한 소작농의 아들 빅토르 하라, 시대를 노래하다

 

1932년 9월 23일 칠레 산티아고 인근의 변두리 마을 로꾸엔에서 아버지 마누엘과 어머니 아만다 사이에 태어난 빅토르 하라.

소작농이었던 아버지는 술주정뱅이였고, 어머니는 힘겹게 가계를 꾸려갔다.

 

가정폭력을 일삼던 아버지 마누엘은 집을 나가버리고, 하라의 어머니는 홀로 남아 자식들을 키웠다. 하라는 어머니를 통해

기타와 칠레 민요를 익혔다. 그러나 그가 유일하게 의지했던 어머니마저 1950년 3월 세상을 떠났다.

 

한 때 방황을 거듭하던 하라는 연극에 관심을 가지고 칠레대학 부속 연극학교에 입학했다. 그는 칠레 전통민요를 조사하고

채집하는 활동을 벌이면서 민족음악에 대한 자각을 키워나갔다. 그러던 가운데 칠레 민요운동의 선구자인 비올레따 빠라를

만나면서 1958년 '꾼꾸멘'이라는 민요그룹의 일원이 된다.

 

꾼꾸멘은 전통 민요와 민속춤을 채집하여 그것을 연구, 연주하는 데 주력하는 그룹이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빅토르 하라는

중남미의 문화운동이자 혁명운동 '누에바 깐시온(Nueva Cancion, 새로운 노래)'에 합류하게 된다.

 

 

누에바 깐시온은 아르헨티나의 시인이자 음악인인 '아따우알빠 유빤끼'가 1940년대부터 미제국주의의 천박한 상업음악에

대항해 민속음악을 전문적으로 수집하고 연구하면서 시작됐다. 이같은 흐름은 1959년 쿠바 혁명과 1970년 칠레의 선거 승리

분위기를 타고 라틴 아메리카 전역에 퍼져나갔다.

 

미제국주의 문화적 침략에 맞서 민족적 전통적 가치와 문화를 지키고 되살리는 것은 라틴 아메리카 민중들에게는 정체성의

투쟁이었다. 제국주의 침략하에서 가장 급진적인 저항은 가장 민족적인 형태를 띠게 마련이다.

 

지속적인 창작을 통해 정력적으로 활동하던 빅토르 하라는 1969년 칠레 산티아고에서 열린 '누에바 깐시온 페스티벌'에서

자작곡 <한 노동자에게 바치는 기도(Plegara a un laborador)>로 대상을 차지한다.

 

'누에바 깐시온'의 거대한 흐름에 자신의 몸을 맡긴 하라는 자연스럽게 문화운동을 넘어 정치운동과 사회운동에도 참여하게

된다. 그의 노래 <선언(Manifesto)>의 가사를 보면 그가 어떤 마음가짐으로 노래를 불렀는지 잘 알 수 있다.

 

<선언(Manifesto)>

 

내가 노래하는 건 노래를 좋아하거나

좋은 목소리를 갖고 있어서가 아니지

기타도 감정과 이성을 갖고 있기에

난 노래 부르네

 

내 기타는 대지의 심장과

비둘기의 날개를 갖고 있어

마치 성수와 같아

기쁨과 슬픔을 축복하지

여기서 내 노래는 고귀해지네

비올레따의 말처럼

봄의 향기를 품고

열심히 노동하는 기타

 

내 기타는 돈 많은 자들의 기타도 아니고

그것과는 하나도 닮지 않았지

내 노래는 저 별에 닿는

발판이 되고 싶어

의미를 지닌 노래는

고동치는 핏줄 속에 흐르지

노래 부르며 죽기로 한 사람의

참된 진실들

내 노래에는 덧없는 칭찬이나

국제적인 명성이 필요없어

내 노래는 한 마리 종달새의 노래

이 땅 저 깊은 곳에서 들려오지

 

여기 모든 것이 스러지고

모든 것들이 시작되네

용감했던 노래는

언제나 새로운 노래일 것이네

 

1970년 대통령 선거운동에 적극 참여한 빅토르 하라는 노래와 연극으로 파시스트와 보수반동 후보들에게 날카로운 비판을

퍼부으며 인민연합의 후보 살바도르 아옌데의 당선에 큰 기여를 했다. 드디어 그가 노래를 통해 꿈꾸던 세상이 열린 것이다.

 

 

Manifiesto ~ Victor Jara                                             Fedro Aznar

 

 

칠레의 혁명정부와 운명을 함께 한 가수

 

그러나 칠레의 봄은 그다지 길지 않았다. 평등한 세상을 꿈꾼 칠레 민중들의 투쟁은 미국의 사주를 받은 반동군인 피노체트에

의해 산산이 무너지고 만다.

 

1973년 9월 11일, 칠레 대통령 살바도르 아옌데는 다음과 같은 라디오 연설을 한 이후, 혁명동지 피델 카스트로에게 선물받은
반자동소총으로 보수반동 쿠데타군과 전투를 벌이다 사망한다.
 

"확실히 이번이 제가 여러분들께 연설하는 마지막 기회일 겁니다. 공군이 마가야네스 라디오의 안테나들을 폭격했습니다…

(중략)…이 상황에서 제게 남은 것은 오직 노동자들에게 말하는 것입니다. 나는 사임하지 않을 것이라고! 역사의 전환점에서

저는 제 목숨을 인민들에게 충성한 대가로 치를 것입니다. 그리고 여러분께 말씀드립니다. 저는 우리가 수많은 칠레인들의

양심에 뿌렸던 씨앗들이 영원히 시들어버리지 않을 것임을 확신한다고 말입니다. 그들은 힘이 있고 우리를 지배할 수도

있지만, 사회의 진보는 범죄와 힘으로는 구속할 수 없습니다. 역사는 우리의 것이고, 인민들이 역사를 만듭니다.

 

…(중략)…이 나라의 노동자들이여, 저는 칠레와 칠레의 운명에 대한 신념이 있습니다. 다른 사람들이 반역자들이 지배하려고

하는 이 어둡고 쓰라린 순간을 이겨낼 것입니다. 머지않아 위대한 거리가 다시 열리고, 그 길로 자유로운 사람들이 더 나은

사회를 건설하기 위해 지나갈 것임을 기억해 두십시오.

 

칠레 만세! 인민 만세! 노동자 만세!

 

이것이 제 마지막 말입니다. 저는 제 희생이 헛되지 않을 것임을 확신합니다. 저는 적어도 이것이 중죄와 비겁함, 반역행위를

처벌할 도덕적 교훈이 될 것임을 확신합니다."

 

 

아옌데 대통령이 전투 중에 사망한 지 며칠 후, 빅토르 하라는 한 실내체육관의 지하실에서 손목이 부서진 상태로 기관총에

맞아 사망하게 된다. 그는 쿠데타군의 고문과 협박 속에서도 용감하게 인민연합 찬가 <벤세레모스>를 불렀다고 한다.

빅토르 하라의 부인이었던 조안 하라의 저서 <끝나지 않은 노래>에는 다음과 같은 빅토르 하라의 말이 나온다.

 

"예술가란 진정한 의미의 창조자여야 한다. 그 위대한 소통능력 때문에 예술가는 게릴라만큼이나 위험한 존재가 되는 것이다."

 

비록 그는 쿠데타군의 기관총에 의해 살해되었지만, '기타는 총, 노래는 총알'이라는 누에바 깐시온의 정신은 빅토르 하라의

노래와 삶에 담겨서 지구 반대편에 살고있는 지금의 우리와도 시간과 공간을 초월해서 소통을 하고 있다.

 

현재 칠레는 피노체트 시절 고문으로 살해당한 혁명가 아버지의 유지를 이어받은 사회당원 미첼 바첼렛이 대통령을 하고 있다.

이것이 진정한 예술의 힘이고 혁명의 힘이다.

 

동지들과 함께 전투 준비를 하는 아옌데 대통령(가운데 뿔테안경을 쓴 인물)      볼프강 마토이어 <빅토르 하라를 위한 레퀴엠>, 1973

 

---------------------------------------------------------------------------------------------------------------------------------------------------------

이상 오마이뉴스 연재 '세상을 바꾼 예술' 중에서 '빅토르 하라' 편

---------------------------------------------------------------------------------------------------------------------------------------------------------

 

* 살바도로 아옌데 前 칠레 대통령 추모곡을 비롯한 그들의 노래들...

 

 

INTI ILLIMANI ~ EN NUORO EL PUEBLO UNIDO       Ventiscka & Ángel Parra - Compañero presidente    

 

 

Las Ultimas Palabras de Salvador Allende               Salvador Allende en su combate por la vida

 

~~~~~~~~~~~~~~~~~~~~~~~~~~~~~~~~~~~~~~~~~~~~~~~~~~~~~~~~~~~~~~~~~~~~~~~~~~~~~~~~~~~~~~~~~~~~~~~~~~~~~~

살바도르 아옌데는 1970년 11월 당선되어 선서한 이래 1973년 9월 11일 미국의 지원을 받은 피노체트 쿠데타 군에 저항하다

자결하기까지 칠레의 대통령이었다. 부패한 관리와 자본가, 군부에 시달리던 칠레인민들이 선택했던 인민의 대통령 살바도르

아옌데는 폭격기까지 동원한 쿠데타군이 국외망명한다면 목숨을 보장하겠다 했음에도 불구하고, 경호원들과 함께 기관총을

들고 끝까지 저항하다 마지막 방송연설을 끝으로 권총으로 자결했다. 이후 1990년까지 피노체트가 집권하는 동안 공식집계

4천여명을 학살하고 2천여명이 실종되었으며, 수만명에 대한 고문을 자행했다. 피학살자 중에는 일곱명의 가톨릭 사제도

포함되어 있었다. 

 

 

 

그는 카스트로의 친구였고, 체 게바라의 친구였으며, 호치민의 친구였으며 파블로 네루다의 동지였다. 그리고 무엇보다

인민의 친구였다. 미국과 군부의 적이었고, 극우파와 자본가들의 적이었다. 최근 노무현 전 대통령의 서거를 접하며 

정책이라는 의미에서 아옌데와 노무현은 많이 다르지만, 인민들의 폭넓은 지지를 받았다는 의미에서, 그리고 비극적

최후라는 점에서 매우 흡사하다 느꼈다.

 

아옌데가 그랬던 것처럼 노무현은 자신이 이루고자 했던 민주주의의 꿈을 그가 쓸 수 있는 마지막 카드인 죽음을 통해서

이루고자 했던 것입니다. 500만명에 가까운 거대한 추모인파와 곳곳에서 터지는 현 정부의 반민주적 폭거에 대항하는 민중의

목소리가 그것을 증명하고 있습니다. 칠레의 불운한 대통령 아옌데가 다시 화려하게 부활 했듯이 대한민국 16대 대통령

노무현의 죽음은 다시금 활짝 핀 민주주의의 꽃으로 다시 태어날 것입니다.

 

칠레 산티아고의 라 문디아 광장에 설치된 아옌데 기념물. 그의 깨어진 안경이다.

대한민국 서울이든 어디든 이 같은 노무현 기념물이 세워지고 시민의 사랑을 받고 자랑스러워 하는 그날이 오기를.....
~~~~~~~~~~~~~~~~~~~~~~~~~~~~~~~~~~~~~~~~~~~~~~~~~~~~~~~~~~~~~~~~~~~~~~~~~~~~~~~~~~~~~~~~~~~~~~~~~~~~~~
노무현 전 대통령의 서거와 살바도르 아옌데 전 칠레 대통령의 일대기를 비교하며 블로그에 올려진 여러 글들을 발췌한 것입니다.

=========================================================================================================================================================

 

내 인생의 책 /

 

〈빅토르 하라: 아름다운 삶, 끝나지 않은 노래〉조안 하라 지음·차미례 옮김/삼천리·1만8000원

 

작가 조세희는 꼭 30년 전 소설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공>에 이렇게 적고 있다. “햄릿을 읽고 모차르트를 들으며 슬픔을 교육받은 사람들이 정작 이웃집의 인간적 절망에 대해서는 눈물짓는 능력을 마비 당했을지도 몰라.” 많은 것들을 사랑할 수 없으니 많은 것들을 슬퍼할 수도 없다. 그러니 사랑에 한계가 있다면 슬픔에도 한계가 있다.

 

폭설 내린 날. 지붕 무너질까 두려워 죽기만 기다렸다는 독거노인의 서리 앉은 창문은 다만 신문기사일 뿐이지만 사람들은 철 지난 유행가 가사에 사랑을 맡기고 멜로영화 주인공의 처절한 이별에는 눈물을 흘린다. 감정의 한정된 용량을 미디어를 통해 소비해버린 이들에게 이 엄동설한 국가가 저지른 방화에 몇몇이 타 죽었다거나 그 주검이 일 년을 냉동고에서 견디었다거나 하는 따위는 고작 스쳐 가는 수만 가지 사실 중 하나일 뿐 더 이상 그들을 위해 눈물을 흘려줄 여유는 없다.

 

“모든 예술의 감동의 최고치는 눈물”이라는 고 조태일 시인의 말을 신조처럼 여길 즈음에 나와 같은 청춘들은 맞아죽거나 토끼몰이 당해서 죽거나 스스로 불살라 죽었다. 그런 때가 있었다. 그 울분을 종로에서 동대문에서 곧 들이닥칠 백골단의 곤봉에 맞서 노래했던 그때 나는 슬픔의 깊이를 가늠케 한 한 사람의 목소리를 들었다. 칠레 민중과의 신뢰를 자신이 가지고 있는 최고의 자산으로 여겼고 가난의 혹독함을 누구보다 잘 이해했던 천재 예술가, 이미 유언과도 같은 노래 ‘선언’(Manifiesto)을 통해 빈곤의 굴레에서 고통 받는 조국의 민중이 되어 “노동하는 기타”가 되기로 마음먹은 위대한 평화주의자, 노래하는 사람 빅토르 하라였다.

 

» 이지상/가수
선거를 통해 이룩한 세계 최초의 사회주의 정부 아옌데 정권이 무너지던 1973년 9월, 군부에 의해 사회주의자로 낙인찍힌 5000여명의 민주인사들과 함께 에스타디오 칠레 체육관에 붙잡혀온 그는 결국 가슴에 총탄이 박히고 양 손목과 손가락이 뭉그러진 채 그의 아내 조안 하라에 의해 시체 공시소에서 발견된다. 죽음의 이유는 간단했다. “단지 민중을 위해 노래를 했다는 것 때문에.”


그의 죽음은 노래를 만드는 나에게 인간의 한정된 감정 영역의 한계가 죽음까지임을 명확히 확인시켰고 또 그로 인해 노래가 단순한 감정의 배설물이 아님을 알게 했다. 꼭 일 년 전 용산참사 현장에서 본 조세희는 이렇게 말했다. “이 땅에서 바로 이 순간 행복하다고 여기는 이가 있다면 그는 둘 중의 하나이다. 도둑이거나 바보이거나.” 아마도 이 땅에 예수가 다시 온다면 이런 얘기를 했을 것이다. “노래로 애통한 자는 복이 있나니 저희가 위로받을 것임이요.”

 

이지상/가수

==============================================================================================================

'Art & Culture > 노래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Dalida 20주기 (2007)  (0) 2009.04.07
존 레논(John Lennon, 1940~1980) - Imagine  (0) 2009.04.07
Irish Rebel Song  (0) 2009.03.24
Beatles - 13 LP  (0) 2009.03.19
CCR(Creedence Clearwater Revival) ~ 야전의 추억  (0) 2009.03.05